철강 플랜트에 대해 알아보자. 첫번째 시간 내용의 출처는 granigut.tistory.com/26이곳이다.
1. 개론
철은 지각의 %를 차지하는 매우 풍부한 원소이다. 기원전 1200년경 서아시아의 하티아트 제국이 본격적인 철 생산을 시작한 이래로 철은 널리 쓰이고 있으며, 현재 인류문명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소재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조선, 자동차 산업등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다른 어느나라보다 철의 중요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2016년 세계 6위의 철강생산국으로 위치해 있고, 세계 조강샌상 중 우리나라가 차지하는 비율은 190년 0.1%에서 2016년 4.3%를 차지하고 기록하고 있다.
지각존재하는 철의 대부분은 산화철 형태로 우리가 이용하는 금속인 철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철광석을 환원 과정을 통해 선철로 만들 필요가 있다. 제선-제강-주조-압연의 전체 제철공정중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 제선이다. 선철 제조에는 용광로 제철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철광석은 고로에 코크스와 석회석과 함께 장입되어 아래에서 불어넣어진 열풍을 통해 환원반응을 일으켜 용융철과 슬래그로 분리된다. 슬래그는 따로 처리하여 시멘트등으로 재활용되고 제조된 선철은 제강공정으로 보내져 탄소성분을 조정하고 황, 인등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작업을 거친다.
제선공정은 개선되어 매우 효율적인 공정으로 발전했다. 현대로 와서 송풍기술의 발전, PCI, 컴퓨터를 이용한 계측제어 등 많은 부분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현대의 제선공정을 전체적으로 조망하고 중요 포인트를 이해하는 것이 제선공정 연구에 중요하다.
제선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제선 과정에 일어나는 전체적인 화학반응은 물론이고 고로의 이해, 원료가 되는 철광석, 석탄 등의 이해가 필수적이다.
다음시간에 계속
'플랜트 > 철강 플랜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강 플랜트#3 파이넥스 공법 (1) | 2020.10.13 |
---|---|
철강 플랜트 #2 철강생산공정 1 제선공정,고로방식 (3) | 2020.09.18 |